끄적모음

객체지향 PART 1 - 캡슐화(접근제어자)

taehyon 2025. 4. 15. 20:10

객체지향의 4가지 특징 PART 1

  • 캡슐화 - 데이터의 보호
  • 상속 - 재사용성과 확장
  • 추상화 - 데이터의 계층적 표현
  • 다형성 - 객체지향의 꽃

캡슐화란?

  • 객체의 정보를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게 보호하는 개념입니다.
  • 캡슐처럼 감싸서 내부를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숨기고 있는 모습에서 유래됐습니다.
  • 클래스 혹은 객체의 캡슐화는 접근제어자 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습니다.

 

캡슐화가 왜 필요할까?

  • 예를 들어, 누군가가 여러분의 이름이나 나이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?
  • 가문의 비밀처럼 외부에 노출하고 싶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.
  • 캡슐화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보호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.
  • 캡슐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접근제어자 를 이해해야합니다.

 

접근제어자 (Access Modifier)

  • 접근제어자는 클래스, 변수, 메서드, 생성자의 접근 범위를 제한하는 키워드입니다.
  • 캡슐화 구현을 위해 사용됩니다.

접근제어자 클래스 내부 패키지 내부 상속한 클래스 전체공개
public
protected
default
private

 

접근 제어자 활용 예시

public class Person {      // ✅ 외부에서 접근 불가 

    public String name;    // ✅ 외부에서 접근 불가 
    private String secret; // ❌ 외부에서 접근 불가 
    
    public Person() {}    // ✅ 외부에서 접근 불가 

    public void methodA() {}  // ✅ 외부에서 접근 가능
    private void methodB() {} // ❌ 외부에서 접근 불가
}
Person person = new Person(); // ✅ 접근가능 생성자가 public
person.name;                  // ✅ 접근가능 변수가 public
person.secret;                // ❌ 접근불가능 변수가 private
person.methodA();             // ✅ 접근가능 메서드가 public
person.methodB();             // ❌ 접근불가능 메서드가 private

 

 

데이터 접근 - 게터(Getter) 와 세터(Setter)

 

캡슐화가 된 데이터에 접근 방법

  • 캡슐화가 잘 적용된 클래스는 내부 데이터를 private 으로 보호하고 있습니다.
  • 데이터 조회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안전한 접근방법이 필요합니다.
  • 그 역할을 수행하는 메서드가 바로 게터(Getter)와 세터(Setter) 입니다.

 

게터(Getter) 활용법

public class Person { 
    private String secret;
    
    public String getSecret() {
		    return this.secret; // ✅ 객체의 secret 속성 반환
    }
}
public class Mai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    Person p1 = new Person();
		    p1.secret; // ❌ 직접 접근 불가능
		    String newSecret = p1.getSecret(); // ✅ 게터를 활용해 접근가능
    }
}

 

 

세터(Setter) 활용법

public class Person { 
    private String secret;
    
    public void setSecret(String secret) {
		    this.secret = secret; // ✅ secret 속성 설정 및 변경
    }
}
public class Mai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    Person p1 = new Person();
		    p1.secret = "password"; // ❌ 직접접근, 변경 불가능
		    p1.setSecret("newPassword"); // ✅ 세터를 활용해 접근, 변경가능
    }
}

 

 


무분별한 세터가 무엇일까?

ex1)

public class DataStore {
    String store;
}

DataStore dataStore = new DataStore();
dataStore.store = "B"; // ❌ 의문의 핵폭발 발생!

 

무분별한 세터 사용사례

  • 접근을 막아 놓고 다시 세터로 외부에 노출한다면, 접근제어를 하는 의미가 사라집니다.
  • 이런 경우 무조건 세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데이터만 저장될 수 있도록 제한해야 합니다.

해결방안 : 안전한 데이터 설정 로직을 추가

public class DataStore {
    private String store; 
    
    public void setStore(String data) {
        if ("B".equals(data)) 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❌ 'B'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!");
        } else {
		        this.store = data;
        }
    }
}

 

ex2)

public class Robot {
    private boolean leftLeg;
    private boolean rightLeg;

    public void setLeftLeg(boolean power) {
        this.leftLeg = power;
    }

    public void setRightLeg(boolean power) {
        this.rightLeg = power;
    }
}

 

이슈

public class Robot {
    private boolean leftLeg; // 세터필요
    private boolean rightLeg;// 세터필요
    private boolean leftArm; // 세터필요
    private boolean rightArm;// 세터필요
    private boolean leftEye; // 세터필요
    private boolean rightEye;// 세터필요
}
Robot robot = new Robot();
robot.setLeftLeg(true);  // ✅ 왼쪽 다리 움직임
robot.setLeftArm(true); // ⚠️ 왼쪽 팔을 먼저 움직이면 균형이 깨짐
robot.setRightLeg(true); // ✅ 오른쪽 다리 움직임
...
  • 속성이 많아질수록 세터를 호출하는 코드가 점점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.

해결방안

public class Robot {
    private boolean leftLeg;
    private boolean rightLeg;
    private boolean leftArm;
    ...

    public void walk(boolean power) {
        System.out.println("🚶 왼쪽 다리 앞으로!");
        leftLeg = power;

        System.out.println("🚶 오른쪽 다리 앞으로!");
        rightLeg = true;
        
        ...
    }
}
  • 이제 걷는 동작이 하나의 메서드로 정의되었습니다.
  • 모든 요소를 조작하는 순서가 walks() 안에서 관리됨으로 사용이 간단해졌습니다.

 

 


 

 

 

 

단순한 세터들을 남용하는 것보다 의미 있는 동작을 제공하는 세터를 만드는 것이 무분별한 세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
'끄적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객체지향 PART 3 - 추상화  (0) 2025.04.15
객체지향 PART 2 - 상속  (0) 2025.04.15
인터페이스 - 표준화의 시작  (0) 2025.04.15
Final - 변하지 않는 값  (0) 2025.04.15
Static - 클래스가 공유하는 공간  (0) 2025.04.15